sDP-1000 시청회 후기
신형덱에 관심이 있고 마침 공동구매중이라 구입을 최종결정하기전에 시각과
청각으로 확인코자했죠.

사진에서 보는것처럼 아래에 위치한 서버와 디자인 컨셉이나 크기가 제짝을
이루고 있습니다.
인상적이었습니다.
■ 파워앰프 마크레빈슨 N0.521H 모노 + 모노
■ 프리앰프 sDP-1000
■ 소스기기 sMS-1000 + 외장 DSD 음원 등(NAS연결)
님들께선 음악 또는 오디오기기를 선택하고 감별할 때 무엇을 기준으로 하시나요?
각종 측정치와 스펙이 우선일 분들도 계실것이고 자신만의 절대적인 음감을
기준으로 삼는분들도 계실것입니다.
서울 시내 특급호텔의 소믈리에는 절대미각? 후각? 어느쪽일까요?
그 수도 없이 많은 와인의 숙성기간과 품질을 감별 할 수 있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그런 장인들이 실제로 와인을 감별할 때는 오로지 후각으로 감별한다고
합니다. 후각 70% 미각은 30%정도 수준이라고 하네요.
와인 감별사가 될까요?
감성아닐까요?
것도 어느 정도 세월이 지난 와인들 앞에서 별무소용이랍니다.
로 잘알려진 사람인데 내파밸리산 싸구려 와인을 프랑스산 고급 빈티지 와인으로
사기를 쳐서 와인업계 관계자와 세계적 와인 감별 장인들이 망신을 당한 적이
있습니다.
불가능한 전제 겠지만 결국 자신의 기준으로 백인백색의 결론이 날 수 밖에
없겠지요.
각종 오디오 잡지들이 가격대별로 순위를 매겨 놓은것을 보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그런것에 초연하기 어려운것도 오디오쟁이들의 숙명이겠지요.
가난한 유저의 숙명! 가성비를 무시할 수 없겠지요
중고가 200선이면 너무나 많은 경쟁자들이 버티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현재 판갈이 목표가 sMS-1000서버를 중심으로 프리내장 덱과
로저스 LS 3/5A 또는 프로악 D1,D2 입니다.
인티앰프의 한계와 프리앰프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있기에 마크레빈슨
521H라는 꿈의 기기에 붙인 소리가 궁금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배터리구동의 이점과 성능은 널리 알려져있어서 새삼스럽지는 않지만
일정한 전압을 유지해주는 레귤레이터 기술이 관건으로 알고 있어 이 점에
대한 궁금점을 풀고자 했습니다.
솔직히 제가 갖고 있는 음원의 99%가 레드북 규격이다 보니 당장 피부에
와 닿지 않지만 향후 제대로 된 DSD 음원을 입수할 수 있을 때를 대비해서
DSD음원의 레드북 대비 소리에 궁금하지 않을 수 없더군요.
예전에 소노리스라는 수입사에서 라마다서울 호텔에서 진행한 시연회에 가본적이
있었는데 일본 스테레오사운드잡지 편집장이 주관하며 JBL 레퍼런스 스피커를
설명하는 자리였습니다. JBL과 마크신형 앰프의 강점과 개발배경
특히 기기의 특장점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음원을 시연해주는걸 보고
전문가가 틀리구나 감탄을 한 적이 있는데 이 날의 진행은 참 맘에 안들더군요.
훨씬 이해가 쉽고 납득이 될 수 있었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짧게 비교 시연되는 형태로 진행되었습니다.
2. 현재 DAC 발전 추세
3. 시청회에 찬조 출연한 기기의 간단한 특징과 매칭 성향
4. 시청회에 시연 될 음원의 소개와 시연시 주목할 기기 성능의 특징
5. 질의 응답
간단히 기기의 성능 설명과 함께 곧 바로 DSD 음원 시연이 이어 졌는데
시연 음원에 설명도 없고 곡 선정도 납득이 부족했습니다.
차라리 DSD음원과 일반 레드북 규격 음원과의 비교 시연이 어땠을까합니다.
날만큼 매혹적인 부분도 있었지만 다른 레퍼런스급 스피커에 비해서 자기만의
강한 색이 있는 소리였습니다.
떠올리며 SOtM의 신형 sDP-1000의 느낌을 말씀드려 봅니다.
와디아 27 코드 64 MK2 버클리알파 네임덱 마이트너 MA-1 SOtM DAC 200 HD 등이
될 것 같습니다
sDP-1000 처럼 덱과 프리가 같이 있던 기기는 에이프릴의 DP1이네요.
외산 기기가 비교대상이 되겠는데 가격대가 일단 체급이 맞지않는군요.
버클리알파나 코드 64MK2 보다 현 시점에서 sDP-1000의 성능이 앞선다고
느껴집니다.
우수한 제품이었습니다. 단순히 우수하다는게 아니라 음악을 듣다보면
마이트너란 개발자가 음악에도 깊은 조예가 아닐까 느껴질만큼 음악을 맛스럽게
재생시켜 줍니다.
구별하여 끄집어내는 능력과 하이파이적인 맛에서는 능가하는 느낌이었습니다.
배터리 구동의 장점도 있을것이고 특출난 클럭의 기본내장 무엇보다 DSD 음원의
능력 그리고 평범함을 뛰어 넘어보이는 프리 성능도 일조를 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쉬웠는데 자체 프리로 연결하여 시연한다고 했을까 과연 마크의 최고 파워를
조율할 수 있을까 내심 우려가 되더군요.
그러나 우려와는 달리 수천만대의 기기들을 훌륭하게 컨트롤 했습니다.
와디아의 디지털볼륨은 자신들의 특허 기술로 사실 타사의 기기가 흉내내기
어려운 훌륭한 성능이었지만 sDP-1000은 완전한 아나로그 프리앰프가 내장되어
담박에 홀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내장했다는 점을 설명듣고 고개가 끄덕여 졌습니다.
디자인은 이미 제가 갖고 있는 서버와 일체감이 있어 더할 나위없었지만
다른 기기를 보유한 분들께도 납득될만한 깔끔한 외양이었습니다.
더불어 국내를 대표할만한 디지털 오디오 기기로 우뚝섰다는 느낌입니다.
뮤직서버 sMS-1000이 추천기기인 cash 리스트에 등재되어있지만 아마도
금번 sDP-1000도 등재되지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되길 기대하면서 시청회 후기를 가름합니다.



